그때 그일

풀베기와 월동무 파종 준비 : 김준호와 무등원

mamuli0 2024. 9. 1. 14:59

 평택에서 세째네가 와서 집 주변 풀을 말끔히 베어주고 갔다. 지난번 소나기로 마치지 못한 월동무 포장에 균배양체를 뿌려주고 로터리를 쳐 주었다.

 

 

김준호와 무등원

 

차종순 著 성자 이현필의 삶을 찾아서

P.269~P.275

 

김준호는 1958년 8월에 두 명의 고아를 데리고 무등산 제2수원지 위 숲속에 움막을 치고 생활하다가 10월에 수원지 관리 공무원에게 발각되어 쫓겨나게 되었다. 당시 결핵환자를 경원시하는 사회적 상황에서 김준호 선생은 무등산 여러 곳에 흩어져 생수가 나는 곳에다 움막을 치고 기독병원에서 6개월 입원 기간이 끝나 강제 퇴원당한 무의탁 환자들을 수용하여 요양시켰다.

 

1956년부터 시작된 송등원은 이현필의 수제자 김준호가 책임을 맡아서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물론 김준호는 방림동 동광원 본원과 항상 깊은 관계를 갖고 광주 기독병원에서 강제퇴원당한 환자들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무등산 전역으로 땅과 집을 매입하고 움막을 지어 환자들을 수용 돌보게 되었는데 이때로부터 송등원에서 무등원으로 탈바꿈 하였다.

또한 광주 기독병원의 카딩톤 원장은 방문실을 운영하면서 퇴원환자들의 지속적인 치료를 위하여 간호사와 전도사를 보내면서 의료적으로 영적으로 그리고 생활비를 조금씩 지원함으로써 육적인 면까지 보살펴 주었다.

다른 각도에서 본다면 남자 제자들은 대다수 결혼생활을 함으로써 동광원 원내 생활을 할 수 없음으로써 동광원에는 남자 제자들이 드물었다. 특히 남자 제자들이라 할지라도 오북환 정인세 김광석 서재선 배영진 등의 초기 출발 당시부터 함께 하였던 분들은 제자라기보다 동지였다. 특히 이세종 선생의 남자 제자들인 박복만 이상복 화순 한천의 정씨 4형제와 화학산의 한종식 문제현 등은 다 결혼한 사람들로서 동광원 원내 생활을 할 수 없었다. 동광원에서 교육을 받았으나 사회로 나가서 결혼 생활을 이끄는 남자 제자들이 모여서 형성한 ‘삼온회’는 동광원 외곽 단체에 불과하였으며 항상 발언권은 약하였다.

이렇게 동광원에서 결혼 생활을 하지 않고 끝까지 이현필과 삶을 같이 한 제자는 대표적으로 김준호를 비롯하여 오북환 장로의 아들인 오세휘 그리고 복태경과 박영규 김익선 이목일 등이며 또한 한국 전쟁 이후로 가입한 한영우 등이 독신과 수도로 오늘의 동광원을 지키고 있다.

그러나 독신 수도하며 지내는 남자들은 그 수가 적고 흩어져 있어 자연히 각 분원에서 실질적으로 원내 생활을 하는 제자들은 자연히 여성의 제자들이었다. 이미 알고 있듯이 광주 방림동 화순 도암 경기도 오원과 벽제 계명산 진도 함평 남원 서리내와 갈밭과 대산면 운교리 등에서도 여성 제자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상과 같이 여성 주류를 이룬 동광원을 이끌어가기 위해서 이현필은 여성 제자들 사이의 화합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리하여 이현필은 1960년 7월 12일자 일기에서 이렇게 피력하였다.

 

‘협동 정신을 주옵소서. 주님의 사랑의 대원칙 하에서 피차 개성들을 살려두는 자유를 주고 행복을 향유하는 협력을 주옵소서.’

 

이현필은 자신이 주님의 부르심을 언제 받을지 모르는 상황에서 자신의 떠난 후의 동광원 운영에 마음을 쓰지 않을 수 없었으므로 제자 훈련과 인재 양성에 더욱 주력하여야 했다.

여제자 중심의 동광원 운영에서 여성 특유의 성격이 보이지 않게 나타나곤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이현필의 남제자로서 스승 이현필을 가장 가깝게 그리고 가장 많은 시간을 함께 하면서 모셨던 김준호는 방림동 동광원 본원에서 거의 공동체 생활을 하지 않았다.

이러한 부분을 일찍이 감지한 이현필은 김준호에게 양림동 다리 밑에서 걸인들과 함께 생활하게 하였으며 이 생활이 끝나자 이번에는 무등산을 중심으로 결핵환자들을 돌보는 일을 맡겼다.

송등원 체제로 있을 때에 김준호를 도와서 광주 동구 산수동과 지산동 딸기밭(현 광주 신양파크호텔 아래 지역)에서 생활을 당시 환자들의 식사 빨래 온방 등을 책임졌던 사람들은 누구였는가? 주로 김천자 김은자 등이 맡아서 수고하여 주었다. 이들은 누구인가? 해방 이후에 광주에서 가입한 여제자들이다. 이는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남제자들은 동광원 여제자 사회에서 주류에 속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하여 이들은 자신들의 위치를 찾고 영성 수련과 교육의 장을 찾았는데 그곳이 바로 무등산을 중심으로 한 무등원이었다. 이 과정에서 남제자로서 김준호와 여제자들의 주류에서 약간 벗어난 여제자들이 힘을 합하여 이끌어가는 공동체가 ‘무등원’이었다.

무등산 북서쪽으로부터 시작하여 북동쪽으로 펼쳐진 무등원에서 결핵환자들을 따뜻한 배려와 영양 공급이 필요한 사람들이었다. 그렇지만 이 당시의 국가적 혹은 지역적 경제 상황으로는 이들에게 까지 구호의 손길이 펼쳐질 수 없었다. 다만 광주 기독병원 원장 카딩톤과 한미 구호재단 등에서 베풀어 주는 혜택이 고작이었다. 바로 이러한 상황에서 비교적 조직의 동일성과 지휘체계가 잘 갖추어진 천주교의 입지가 있었던 것이다.

더 나아가서 김은자 김천자 두 자매의 신앙 노선이 천주교적인 성향이 있었기 때문에 북동 천주교회의 안신부를 ‘주님 닮은 사람’ 이라고 표현하기 까지 하였다. 무등원은 산수동 골짝의 이전의 송등원 시설 규모의 차원을 넘어서 무등산 원효사 계곡으로, 삼밭실로, 은혜실로, 복음당으로, 손님 대접실로 여러 시설을 갖추면서 시설을 확대 시켜나갔다. 이러한 시설 확장은 당시 한미재단에서 제공하는 밀가루와 옥수수를 가지고 학동과 산수동의 노동시장에서 싼 임금으로 일일 노동자를 고용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들은 무등산에 널린 돌을 모아서 집을 짓곤 하였으며, 카딩톤은 이들에게 식품과 약품을 공급해 주었다.

그러나 이미 앞에서 언급하였던 대로 카딩톤의 무계획적인 구호활동은 병원의 운영을 책임 맡았던 사람들에게는 좋게 보이지 않았다. 또한 동시에 병원에서 구호품을 받아야 할 사람들의 눈에는 자기네들에게 올 구호품이 타처로 빼돌려지는 느낌이었으므로 카딩톤을 구호품 횡령과 무등산 산림 훼손죄로 고발하기까지 하였다.

이러한 사이에 미국 남장로교회 한국선교회는 카딩톤의 병원 운영이 적자로 이어지자 이를 만회하기 위하여 전주 예수병원에서 외과 전문의로 근무하던 디트릭((Ronald B.Dietrick:이철원)을 파송하여 1967년부터 새로운 원장직을 맡겼다. 그리고 카딩톤은 결핵과 과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제부터는 방문실 운영도, 무료 환자도, 무료급식도 모두 어려워지기 시작하였다.

 

 

더욱더 사태를 악화시킨 것은 1972년에 광주 무등산이 전라남도 도립공원으로 지정 되면서 모든 불법 건축물에 대한 철거 명령이 내려졌기 때문이다. 이때까지의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구 분 기간 부지크기 수용 규모
송등원 1956~1958년 20여명 남녀 약30여명
제2수원지 움막 1958년 8월~10월 움막 3명
원효사 삼밭실 1959년 여름 방 두칸 5~7명의 여자 환우로 시작함
(이현필 선생도 기거함)
원효사 계곡에 관광호텔이 완성되자
시에서 철거 명령

 

 

 

구 분 기간 부지크기 수용 규모
개원사 옛 절터 1960년 여름 집 7~8채 80여명이 거주함
800고지 옛 절터 1960년 여름 방 두칸 7~8명 기거
바람재 1959년 여름 방 한칸 5~6명 기거
이서쪽 권서남 1959년 여름 집 한채 5~6명 기거
이서쪽 스기남 1960년 여름 집 한채 5~6명 기거
원효사길 덕삼재 1959년 여름 집 한채 5~6명 기거
소태동 원지실
(목장터)
1961년 여름 집 두동 복음당 건축조건으로 환자들을 이동시킴
: 10여명의 환우들이 거주하였음
그린벨트 발표후 철거함
현광주시 쓰레기 매립장
소태동 집게봉 1961년 여름 집 한동 5~6명 기거
담양군 금성산성 1961년 여름 집 삼동 30여명 기거
화암동 옛절터 1960년 여름   80여명 기거
원효사 복음당 원효사 계곡
관광호텔 건축시기
   

 

 

 

김준호는 1958년 8월에 두 명의 고아를 데리고 무등산 제2수원지 위 숲속에 움막을 치고 생활하다가 10월에 수원지 관리 공무원에게 발각되어 쫓겨나게 되었다. 당시 결핵환자를 경원시하는 사회적 상황에서 김준호 선생은 무등산 여러 곳에 흩어져 생수가 나는 곳에다 움막을 치고 기독병원에서 6개월 입원기간이 끝나 강제 퇴원 당한 무의탁 환자들을 수용하여 요양 시켰다. 이 같은 지속적인 노력들이 위에 보인 표와 같은 여러 형태로 나타났다.

위에 열거한 여러 요양소를 건설하는 과정에서 건설비는 ‘세계봉사회’에서 구호금으로 나오는 강냉이 가루였다. 카딩톤 원장은 기독병원 창고에 강냉이 가루를 보관 하였다가 무등산 요양소 건설에 참여한 노동자들에게 인건비로 지급하였기 때문에 병원 내에서 여론이 나빠졌다. 다른 한편에서는 산림청에 고발하여 도벌꾼, 국유림 훼손죄로 고발하는 사태까지 발생했다.

그러다가 무등산 요양소가 1972년 5월 무등산이 도립공원화 되면서 다 철거되기에 이르렀다. 그리하여 카딩톤 원장은 봉선동에 아리랑 고개에 전 500평, 조봉동에 전 600평, 골매에 전 500평의 땅을 사줌으로서 조봉동에 15동, 골매에 5동을 짓고 아리랑 고개에는 50평 규모의 집을 지을 수 있었다. 아리랑 고개에는 남자가 조봉동과 골매에는 여자들이 이사하였다. 이를 도표로 하면 다음과 같다.

구분 총면적 건축규모 거주자 비고
아리랑 고개 500평 50평 30명 남자 거주
조봉동 600평 15동 50명 여자 거주
골매 500평 5동 30명 현 무궁갱생원
여자 거주

 

1972년에 이르러 광주 기독병원의 카딩톤 전 원장은 한국선교를 접고서 한국을 떠날 마음을 가졌다. 그는 한때 제주도에도 의료 선교의 가능성을 타진하였으나 이 또한 어려움을 겪자 1974년에 방글라데시로 선교지를 결정하고 떠나게 되었다.

이때로부터 무등산 일대에 퍼져 있었던 무등원은 운영상 어려움을 겪기 시작하였다. 그 동안 큰 경제적 도움을 주던 카딩톤이 떠남에 따라 일단 무등원에 들어온 환자들의 지속적인 생필품 공급이 어려워짐으로서 가장 급선무로 대두되었다. 이때로부터 무등원을 맡았던 이사진들은 운영을 책임질 단체들을 찾기 시작하였으며 여러 정황으로 볼 때에 광주 카톨릭 대교구에서 운영하는 것을 허락하였다. 그리하여 조비오 신부를 비롯한 책임자들이 무등원을 소화자매원으로 탈바꿈시켰던 것이다.